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바둑과 인생경영13

13. 발전하려면 복기를 하라 요즘 ‘복기(復棋)’라는 말이 일상생활에서도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정치나 행정 등 업무 처리에서 “복기를 해 보면…”과 같이 사용한다. 바둑용어인 '복기'는 기사들이 바둑을 두고 나서 다시 놓아보며 잘잘못을 분석하는 것을 가리킨다. 바둑 분야에서는 특별하게도 시합을 하고 나서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는 것이 관습처럼 되어 있다. 복싱으로 치면 경기가 끝난 후 비디오를 돌려보며 패인을 분석하는 셈이다. 이것은 바둑만의 품격 있는 문화라고 할 수 있다. 바둑팬들은 방송에서 프로기사들이 시합이 끝나 복기하는 것을 보려고 한다. 만일 기사들이 복기를 하지 않고 일어서면 섭섭해 하기도 한다. 예전에 세계대회에서 외국의 정상급 기사가 복기를 하지 않고 일어서자 비난을 한 팬도 있었다. 그런데 그 기사는 유리한 바둑을 .. 2023. 6. 27.
[바둑과 인생경영] [12] 실전에서 기술을 사용하라 2023.05.29 - [바둑과 인생경영] - [바둑과 인생경영] [11] 기본적인 정석은 외워라 많은 분야에서 기술과 능력을 쌓는 것은 실전(실제 장면)에 써 먹기 위한 것이다. 실전에 써먹지 못하는 지식은 어떤 의미에서 '죽은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배운 지식도 실전에서 유익하게 활용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실전을 하는 것은 한편으로 기술을 숙달시키는 방법이기도 하다. 실제 장면에서 이론적으로 배운 것을 써먹어 보는 것이 좋은 공부가 된다는 것이다. 기술을 실전상황에서 사용해 보는 것이 실력 향상에 여러 모로 도움이 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바둑을 가르칠 때는 지도방법으로 필히 ‘실전대국’을 넣고 있다. 고수들은 바둑지도를 할 때 먼저 배우는 사람의 기력을 파악한 후 실전을 하자고 한.. 2023. 6. 9.
[바둑과 인생경영] [11] 기본적인 정석은 외워라 대부분의 분야에는 중요한 공식과 같은 ‘정석(定石)’들이 있습니다. 그 정석들을 알고 있어야 그 분야의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전을 하려고 한다면 운전에 관한 기본요령, 즉 정석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운전석에 앉아 브레이크를 밟고, 시동을 건 후 브레이크를 풀고 천천히 액셀레이터를 밟는 수순을 따라야 합니다. 이러한 정석을 모르고 덤벼든다면 위험한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사업가는 “마케팅 원리를 모르고 비즈니스 하는 것은 정석을 모르고 바둑을 두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이 경우 마케팅 원리라는 것이 정석과 같은 역할을 하는 셈이죠. 언젠가 인터넷에서 ‘정석’이라는 말을 검색했더니, 여러 분야에서 정석이라는 말을 책 제목으로 쓰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 2023. 5. 29.
[바둑과 인생경영] [10] 격언처럼 짧게 요약하라 2023.05.10 - [바둑과 인생경영] - [바둑과 인생경영] [9] 인생에도 기술이 필요해 [바둑과 인생경영] [9] 인생에도 기술이 필요해 2023.05.03 - [바둑과 인생경영] - [바둑과 인생경영] [8] 속기파가 되지 마라 [바둑과 인생경영] [8] 속기파가 되지 마라 2023.04.28 - [바둑과 인생경영] - [바둑과 인생경영] [7] 선택의 대상 정하기 [바둑 3.926gmc.com 다양한 분야에서 능력을 높이려면 무엇보다도 관련된 기술에 관한 지식을 쌓아야 합니다. 그런데 지식을 쌓는 일이 간단치가 않죠. 워낙 많은 지식이 나와 있어 기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바둑에서는 어떻게 지식을 쌓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바둑에도 지식이 굉장히 많습니다. 같은 커다란 사전도 있습니다... 2023. 5. 17.
[바둑과 인생경영] [9] 인생에도 기술이 필요해 2023.05.03 - [바둑과 인생경영] - [바둑과 인생경영] [8] 속기파가 되지 마라 [바둑과 인생경영] [8] 속기파가 되지 마라 2023.04.28 - [바둑과 인생경영] - [바둑과 인생경영] [7] 선택의 대상 정하기 [바둑과 인생경영] [7] 선택의 대상 정하기 2023.04.24 - [바둑과 인생경영] - [바둑과 인생경영][6] 선택의 과정 [바둑과 인생 3.926gmc.com 기술이 있어야 고수 바둑을 잘 두려면 ‘바둑 기술(技術)’을 알아야 합니다. 기술 능력이 없이 바둑을 잘 둘 수는 없겠죠. 고수와 하수를 구별하는 것은 기술 능력의 차이입니다. 인생에서는 어떨까요? 우리가 살아가는 데는 특별한 기술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생각해 보면 인생에도 당연히 기술이 있을 것입니다. .. 2023.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