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1 - [바둑의 기술(중급)] - [바둑의 기술(중급)] [1] 집짓기와 전투
[바둑의 기술(중급)] [1] 집짓기와 전투
바둑을 잘 두려면 바둑기술을 알아야 합니다. 바둑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여러분이 알고 계시는 포석, 정석, 사활 같은 것들이죠. 그런데 이러한 바둑기술이 상당히 다양해서 이것들이
3.926gmc.com
2023.04.22 - [바둑의 기술(중급)] - [바둑의 기술(중급)] [2] 수읽기
[바둑의 기술(중급)] [2] 수읽기
2023.04.21 - [바둑의 기술(중급)] - [바둑의 기술(중급)] [1] 집짓기와 전투 [바둑의 기술(중급)] [1] 집짓기와 전투 바둑을 잘 두려면 바둑기술을 알아야 합니다. 바둑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3.926gmc.com
포석(布石)은 바둑판 위에 돌을 배치하여 집모양을 만드는 것입니다. 기초공사인 포석을 잘 해야 바둑을 순조롭게 풀어갈 수 있겠죠.
포석에 관해서는 빈 귀를 차지하고, 변의 큰 곳을 점령하는 등 몇 가지 요령이 있습니다. 그런데 근래 인공지능의 영향으로 포석법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프로기사들의 바둑을 보면 기존의 포석과는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바둑팬들은 인공지능이 좋아하는 포석법을 그대로 따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인공지능은 전문가의 수준에서 조금만 유리해도 그 쪽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고, 그 기법을 따라 하는 데는 무리가 따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하나 보죠.
저돌적인 머리붙임
[1도] 흑1로 귀를 굳힐 때 인공지능이 다짜고짜 백2로 머리에 붙여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이런 수는 길 가던 사람의 멱살을 잡고 시비를 거는 듯한 수라고 할 수 있죠. 반상에 차지할 곳이 많은 상황에서 이처럼 붙여간다는 것이 기존의 포석 상식으로는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2도] 전통적인 포석법은 흑1때 백2로 큰 곳을 차지해 놓고 두는 것입니다. 또는 백A로 갈라쳐 두는 수를 둘 수도 있습니다. 백2는 장차 우하귀 부근에 다가선 후 귀의 약점을 노리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바둑팬들은 1도의 저돌적인 붙임수보다 백2와 같은 점잖은 포석기법이 더 마음에 들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인공지능의 수법은 어려운 싸움을 내포하고 있어 잘못 두면 망할 수 있습니다.
유행했던 삼연성
[3도] 흑1의 삼연성 포진은 크게 유행했던 포석입니다. 그런데 인공지능이 이 수를 낮게 평가하다 보니 프로들의 바둑에서 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이 수로는 A로 굳히는 수를 많이 두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의 화점에 3-3침입하는 수를 중요시합니다.
그런데 아마추어 중급자의 바둑에서는 흑1의 삼연성을 두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우변에 집모양을 크게 건설하는 포석으로 이끌어서 세력적이고 공격적인 전법을 펼친다면 한 판의 훌륭한 바둑이 될 것입니다.
아무튼 현재 포석법은 인공지능에 의해 혁명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아두시고, 기존의 포석이론과 인공지능의 포석법을 적당히 섞어 쓰는 방향을 추천합니다.
'바둑의 기술(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둑의 기술(중급)] [6] 포도송이는 싫어 (0) | 2023.05.06 |
---|---|
[바둑의 기술(중급)] [5] 관통형은 피하라 (0) | 2023.05.01 |
[바둑의 기술(중급)] [4] 행마의 격언 (0) | 2023.04.26 |
[바둑의 기술(중급)] [2] 수읽기 (0) | 2023.04.22 |
[바둑의 기술(중급)] [1] 집짓기와 전투 (0) | 2023.04.21 |
댓글